Diary

향린에서

tomato13 2007. 11. 4. 21:57

주말인 어제와 오늘은 무선사에서 있었다. 어제는 오전부터 밤까지 오늘은 오전부터 오후까지 있었다.ㅡ.ㅡ NativeUI과제에 bullseye도구를 적용하기 위해서였다. 문제가 간단하지 않은듯하여 간단한 샘플코드와 makefile을 작성하여 먼저 적용을 시도하였고 어제 저녁에 build까지는 완료할 수 있었다. 사실 link단계에서 문제가 있어서 이 단계에서는 ADS1.2의 tcc를 바로 사용하였다. 재미있는 것은 9층에 출근한 삼학씨의 pc에서는 똑같은 환경인 듯 한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는 것이었다.ㅡ.ㅡ 지금 생각해보니 문제가 계속해서 남아있었던 것이다. 오늘은 실제 개발코드를 대상으로 wam모듈에 대해서 compile만을 시도하였다. 어제의 link문제는 해결이 안 되었지만 오늘 작업과 관련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을 하였다. 결과는 전혀 예상치 못한 "error running ads1.2 tcc"과 비슷한 메시지였다. 근데 하나 발견한 것이 source code 디렉토리에 test.cov라는 파일이 생성되었다. 이것은 coverage data를 저장하기 위해서 bullseye tool이 생성한다. 그런데 열어보니 아무런 내용이 없었다. 두가지를 예상할 수 있었다. 첫째, bullseye는 COVFILE이라는 환경변수를 읽지 못한 것이었다.(COVFILE을 읽으면 정해진 위치에 test.cov를 만들것이다.) 둘째는 instrumentation이 안 되었다는 것이었다. 정리하면 ads1.2 tcc의 argument로 invalid한 무언가를 던진 것일 수도 있었다.(ads1.2 tcc의 인자로 invalid값을 넘겨보아야겟다.) 그렇다면 왜 이런 일이 발생하는가이다. 샘플코드에 대한 makefile은 대강 아래와 같다.

CC=c:/bullseye/bin/tcc

$(CC) -o test.c

개발코드의 대응하는 .mk파일의 해당부분은 대강 아래와 같다.

#export ads1.2=c:/ads1.2

export ads1.2=c:/bullseye

_tcc=$(ads1.2)/bin/tcc

CC= (.......) + _tcc

....

문제의 원인을 추정해보면

1. .mk에서 $(CC)의 option flag로 -o가 아닌 다른 것을 사용하여 obj파일을 생성했을 수 있다.

2. 내 pc에서 bullseye가 잘못 설치되었을 수 있다.

(내일 소희씨 혹은 정선임님 아니면 삼학씨 pc에서 수행을 해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3. 삼학씨 pc와 내 pc와의 환경이 무언가 다른 것일 수 있다.(환경변수, ADS tool chain, bullseye.....)

(삼학씨 자리에서 수행을 해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의 당면한 사항들을 정리해보면

1. coverage측정

2. mytest 안정성확보

3. tc 리뷰

와 같다. 2는 tool팀인 건우씨에게 의뢰를 해야할 것이다. 1은 내가 보아야할 듯 하지만 별다른 진전이 없어 마냥 잡고 있기는 어려울 듯 하다.(용진에게도 문의를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은 역시 내가 관리를 해야하지만 정선임님에게 부탁을 해야할 듯 하다. 이를 위해서 출근 직후 간단한 미팅으로 논의를 해보고자 한다. 문제는 해결될 것이다. 보람된 하루였다~

'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선사에서  (0) 2007.11.06
무선사에서  (0) 2007.11.06
무선사에서  (0) 2007.11.04
무선사에서  (0) 2007.11.02
동작구에서  (0) 2007.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