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softwaretestinghelp.com/practical-software-testing-tips-to-test-any-application/
1. Learn to analyze your test results thorougly.
=> 테스트 결과가 fail로 나왔을 때, 그냥 결과만을 기입하기 보다는 원인에 대해서 생각해보라는 얘기이다. 글쎄, 시간이 많다면 필요할 듯 하다. 그런데 대개는 시간이 부족하다. 그래도 시간을 내서라도 생각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점점 테스트의 품질이 높아지게 되지 않을까?
2. Learn to maximize the test coverage
3. To ensure maximum test coverage break your application under test (AUT) into smaller functional modules.
4. While writing test cases, write test cases for intended functionality first i.e. for valid conditions according to requirements. Then write test cases for invalid conditions.
=> 2~4는 test coverage를 위한 얘기인 듯 하다.
5. Think positive
=> 정말 중요한 것 같다. 왠지 버그가 있을 것 같고 그 버그를 발견하고 싶고 발견할 것 같다는 긍정 마인드로 임해야할 것이다.
6. Write your test cases in requirement analysis and design phase itself.
7. Make your test cases available to developers prior to coding.
=> 사전에 테스트 케이스를 개발자에게 알려본다는 것. 좋은 얘기이다.
8. If possible identify and group your test cases for regression testing.
=> 개발하다보면 그리고 테스트하다보면 regression testing을 상당히 많이 하게 된다. 이 때 준비 정리된 회귀테스트 케이스가 있다면 좋을 것이다.
9. Applications requiring critical response time should be thoroughly tested for performance.
10. Programmers should not test their own code.
(무슨말인지 잘 모르겠다.)
11. Go beyond requirement testing.
12. While doing regression testing use previous bug graph
13. Note down the new terms, concepts you learn while testing.
=> 노트에 순간순간의 생각, 학습 내용을 적어가는 것이 테스터의 역량도 높이고 결과 보고서 작성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14. Note down all such code changes done for testing purpose
=> 중요한 내용이다. 테스트를 위해서 넣은 코드는 release될때 반드시 제거되야 하고 이를 위한 기록이 필요할 것이다.
15. Keep developers away from test environment.
16. It’s a good practice to involve testers right from software requirement and design phase.
=> 쉽지는 않을 듯하다. 개발 프로세스에 테스터가 함께하게 되면 일단 테스터의 입장에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개인적으로는 테스트를 위한 별도 교육, 학습 기간이 주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개발 프로세스에 함께 참여한다면 비록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지만 품질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17. Testing teams should share best testing practices
18. Increase your conversation with developers
=> 정말 중요하다. 개발자와 많은 대화를 나눌 수 있어야 하고 나누어야 한다. 이 경우 말보다는 이메일등과 같이 글로써 남겨야할것이다.
(서로 얘기를 많이 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꽤 친해져야한다고 생각한다.)
19. Don’t run out of time to do high priority testing tasks
20. Write clear, descriptive, unambiguous bug report
'Papers > Oth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id Home Screen for Mobile Phones (0) | 2012.10.30 |
---|---|
Cause-Effect Graphing (0) | 2012.10.11 |
difference between "Rollback" and "Back out' (0) | 2012.01.12 |
Automated Stress Testing of Windows Mobile GUI Applications (0) | 2011.02.08 |
Feedback-directed Random Test Generation (0) | 2011.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