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IZ 문제해결과정
1. 문제의 상황을 이해하고 분석
2. 가능한 물리적인 기호로까지 단순화 및 IFR 구상
- 기술적 모순관계 분석
- 자원분석: 물리적 자원, 무형적 지적 자원 등 가용할 수 있는 모든 것
- IFR 구상 (문제가 해결된 이상적인 결과를 그려본다.)
- 물리적 모순관계 도식화 및 분석
- 세부자원분석 (구체화된 모순관계 주변의 가용할 수 있는 구체화된 자원)
- IFR 재구상 및 정의
3. 모순 해결
- 심리적 타성 제거, 가용 Resource 활용 (존재하는 물체, 힘, 지식, 경험....)
- 기술적 모순: 40가지 발명원리 사용
- 물리적 모순: 분리의 원리 4가지 적용(시간의 원리, 공간의 분리, 조건의 분리, 부분과 전체의 분리)
- SU-Field Model: 76가지의 표준해 사용
* Su-Field는 영향을 주는 Tool과 영향을 받는 Object 그리고 이 둘 사이에 존재하는 힘으로 구성된다. Field의 예로 기계장, 열장, 화학장, 전기장, 자기장, 전자기장 등이 있게 된다. 76가지의 표준해를 사용하여 Field의 힘을 강화 혹은 약화시키거나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장의 효과를 자석과 같은 자기장을 도입화여 약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 Function -> Effects
* 수많은 발명에서 공통으로 활용되고 있는 과학적 효과를 추출하여 IDEA발상에 이용한다. TRIZ S/W를 사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ex) 제에벡효과(Seebeck effect) : 두 종류의 금속을 폐회로로 연결하고 두 접합 사이에 온도차이를 두면 회로에 기전력이 발생되는 현상
퀴리온도(Curie temperature): 모든 강자성체 물체는 퀴리 온도를 가지며, 이것은 강자성 특성을 완전히 잃는 온도를 말한다.
뫼비우스의 띠